톰캣은 HTTP요청과 HTTP응답이 있다.
HTTP요청은 Request.
HTTP응답은 Response. 라고 할수 있겠다.
이중 HTTP응답의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.
프로토콜버전 - 상태 코드(Status code) - 설명(Description)
이중에 상태 코드는 100~500까지 있다.(내가 아는 범위다 -_-!!)
100번대 - continue(대기상태)
200번대 - success(성공)
300번대 - Resource status(자원 상태)
400번대 - Bad Request (잘못된 요청)
500번대 - Bad Server(잘못된 서버)
이런 상태 코드가 존재한다.....
여기까지가 나의 지식 상태..
누구든 추가적인 설명이 있으시다면
댓글 달아주세요.. ~
HTTP요청은 Request.
HTTP응답은 Response. 라고 할수 있겠다.
이중 HTTP응답의 구성 요소 중에 하나인.
프로토콜버전 - 상태 코드(Status code) - 설명(Description)
이중에 상태 코드는 100~500까지 있다.(내가 아는 범위다 -_-!!)
100번대 - continue(대기상태)
200번대 - success(성공)
300번대 - Resource status(자원 상태)
400번대 - Bad Request (잘못된 요청)
500번대 - Bad Server(잘못된 서버)
이런 상태 코드가 존재한다.....
여기까지가 나의 지식 상태..
누구든 추가적인 설명이 있으시다면
댓글 달아주세요.. ~
'program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pache] 아파치 + 톰캣 연동 (0) | 2009.09.25 |
---|---|
[DB] RDB의 집합 연산자 와 관계 연산자 (0) | 2009.05.16 |
[DB] DB와 DBMS (3) | 2009.05.15 |
[DB] T-SQL 과 ANSI SQL (0) | 2009.05.14 |
[DB] ERD표기법 (0) | 2009.05.12 |